a Korean's daily life

a Korean's daily life

듀얼 모니터 깜박임, 인식오류, 화면 깨지는 경우.

듀얼모니터 오류증상

듀얼모니터가 오류증상을 보인다.

듀얼 모니터 써 본 사람은 싱글 모니터를 사용하기 힘들다. 이 건 사용해 본사람은 안다.

듀얼 모니터가 생산성을 올려준다.

뭐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한 모니터로는 유튜브를 보면서 대형모니터에서는

창을 2개 띄워 작업하는 식이다.

그러고 보니 대형모니터도 사용해 본 사람은 작은 거 쓰기 어렵다.

언제부턴가 “삐” 하는 소리가 비프음이 들리고는 모니터가 꺼졌다가 다시 켜진다. 한 1초정도다.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사용을 했는데 잘 사용하다가 꺼지면서 화면이 돌아오지 않는다.

분명 인식은 되어서 마우스를 움직여 보면 듀얼 모니터로 넘어간다.

화면만 나오지를 않는 것이다. 이럴 때는 케이블을 뺐다가 다시 연결하면 되는데

처음엔 연결하면 되는데 몇 번 해야지 듀얼모니터 인식이 된다.

점점 오류증상도 늘어나고 뺐다가 연결하는 횟수도 점점더 늘어난다.

케이블을 바꾸고 나니 블랙화면은 안 보이는데 화질이 깨졌다가 암흑이다.

그 때 마다 케이블을 뺐다가 다시 연결하면 한 몇 십분은 사용이 가능하다.

날도 더운데 땀까지 삐질 삐질 난다.

처음에는 모니터가 고장났나 싶었는데 그 것 아닌 것 같다. 케이블도 교체를 했는데

더 안 좋은 증상이 보인다. 케이블이 문제인가 싶어 HDMI TO DP케이블을 주문했다.

에전에는 블랙스크린이엇는데 이제는 브라우저 2개중 활성화된 한 쪽 브라우저만

마치 고장난TV의 지지직 거리는 화면과 비슷한 모습이 보인다.

PC에서도 이런 모습을 보다니…,

케이블을 2개나 바꾸었는데

2개다 고장인가??? 흠… 다른 이유가 있을 것 같은데 흠,

그 창을 닫고 다시 여니 제대로 보인다. 이 건 정상이 아니잖아.

이 건 케이블 문제가 아닌 것 같다.

검색을 하다 보니 장치관리자 이야기가 나온다. 순간 다마반짝!

아…, 장치관리자에 알 수 없는 장치가 2개 있었다. 1개는 업데이트 한 것이다.

알 수 없는 장치가 뜨게 되면 삐 하는 소리가 나면서 팝업이 올라오…던가? 하여간 그런 데자뷔다.

결국 3DP Chip을 다운 바다 드라이버를 설치하게 되었다.

일단 모두 업데이트.

효과가 없다. 레노보 사이트로 가서 자동업데이트도 했다.

안된다. 결국 검색을 통해 저 문제의 드라이버를 해결하게 된다. 수동으로 드라이버를 찾아 설치했다.

저 장치는 전원관리장치라고 한다.

없어졌다.

전원장치이다.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고 나니 장치관리자에 한 개가 생겼다.

그런데도 문제다. ㅠㅠ

검색을 하다 보니 멀티전원에 연결하지 말고 벽에 있는 전원을 이용해 보라는 글이 보인다. 두리번, 두리번.

흠… 벽에 연결할 전원이 없다. 어떻게 해야 하나 가다가 새로고침 빈도를 바꾸어 보았다.

기존 60Hz에서 50Hz로 말이다. 이러면 전력소모가 줄긴 하니 기다려 보자.

이렇게 하고 한 30분 사용하고 나니 소리는 안 나고 깜박이긴 하는데 그 외 오류는 없다. 전원문제인가?

그러면 모니터 1도 새로고침 빈도를 낮추어 보자.

원인은 알 수가 없지만 기본 모니터는 새로고침빈도 수정이 불가능하다.

120Hz하나다.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기능을 모두 껐다.

그래도 오류를 보이는 시간이 늘어난 것을 보면 효과는 있는 것 같기도 한데, 기분탓인가?

한 시간동안 사용해 보니 깜박거림은 있는데 원위치로 돌아온다. 결국은 전원문제인가 싶은가 싶다.

최대한 전원을 사용하는 각종 장치는 정지를 하는게 좋겠다.

주말동안 기다렸는데 케이블이 오지 않는다. 케이블에 대한 기대는 크게 하지 않지만,

그래도 이틀동안 검색해가면서 이것 저것 적용하다 보니 그래도 좀 더 나아진 것 같아서 다행이다.

​그렇다고 본질적인 해결은 되지가 않았다. 단지 오류증상을 보이는 빈도만 줄어들었을 뿐이다.

케이블을 교체하고서야 해결이 되었다.

아..놔…이 걸 생각못했네. HDMI케이블이라고 해서 다 같은 케이블이 아니다.

해상도를 지원해주는 케이블을 사용했어야 했는데 사무실에 굴러다니는 hdmi케이블을 이용했더니

해상도를 지원하지 못하니 이런 일이 생긴 것이다. 쩝.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